시스템 종료
Shutdown –h 10 : 10분후 종료
Shutdown –h now : 당장 종료
Halt : 당장종료
Shutdown –r now : 당장 재부팅
Reboot : 시스템 재부팅 –f 옵션은 강제 재부팅
Shutdown 옵션
-t n : 경고 메시지 보낸 후 n초 후에 kill 시그널을 보낸다.
-h : halt 실행
-n : 디스크 동기화 동작의 수행을 금지한다.
-r : 재부팅한다
-f : 다음 부팅시 파일시스템 검사를 하지 않는다.
-c : shutdown 취소
-k : 모든 동작을 수행하지만 실제 시스템을 종료하지 않는다.
Init run level 정리
0 : 종료모드
1 : 단일 사용자 모드 (시스템 복구시 사용)
2 : 다중 사용자 텍스트 모드(NFS 사용 불가)
3 : 다중 사용자 텍스트 모드
4 : 사용안함
5 : 다중 사용자 그래픽 모드
6 : 재부팅 모드
/etc/inittab 파일의 id:5:initdefault:
Id 뒤에 5가 런레벨을 뜻한다.
부팅 후에도 런레벨을 변경하려면 #init [0-5] 를 입력하면 된다.
대게 0,3,5,6을 사용한다.
사용자 추가
#useradd [option] username
Option
-d : 홈데렉토리 지정
-g : 그룹을 지정, 지정 그룹이 미리 생성되어 있어야 함
-G : 기본그룹이외에 추가로 지정그룹에 속하게 할 경우 사용
-c : 사용자추가시 사용자에 대한 설명을 설정
-s : 사용자추가시 사용자가 사용할 쉘을 지정한다.
-D : /etc/default/useradd에 설정된 유저추가와 관련된 기본 사항들을 보여준다.
비밀번호 변경은 #passwd username
사용자 삭제
#userdel [option] username
Option
-r :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도 삭제
그룹추가
#groupadd [option]] groupname
Option
-g GID : 특정 GID번호로 설정한다
-r : 0~500번대 사이로 GID를 설정한다.
그룹삭제는 #groupdel groupname
유저정보조회
#id [option] [username]
Option
-g : 기본 그룹의 gid를 출력한다
-G : 사용자가 속한 모든 그룹의 gid를 출력한다
-u : 사용자의 uid를 출력한다
-n : -u 옵션과 함께 사용하여 숫자 대신 이름을 출력한다.
Ex)#id –Gn root
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보여준다.
#groups username
사용자 정보 수정
#usermod [option] username
Option
-c : 사용자의 설명을 수정한다.
-d : 홈 디렉토리를 변경한다.
-m : 홈디렉토리 변경시 파일ㅇ르 옮긴다
-e : 계정 종료일을 변경한다
-s : 기본 쉘을 변경한다.
-u : uid를 변경한다.
-g : 기본 그룹을 변경한다.
-G : 추가 그룹을 변경한다.
-I : 사용자명을 변경한다.
-L :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LOCK을 걸어 로그인을 막는다
-U :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걸린 LOCK을 푼다.
사용예
#usermod –c usercomment user1
User1의 usercomment를 변경한다.
#usermod –d /home2/user1 –m user1
User1의 홈디렉토리를 /home2/user1로 변경하고 기존의 파일들을 이동한다.
#usermod –L user1
User1의 계정을 잠근다. 로그인이 불가능해 진다.
#usermod –U user1
User1의 계정을 푼다.
사용자 전환
#su [option] username
Option
- : 사용자의 환경변수를 읽는다.
Ex) #su - root유저로 전환한다. #su – username username으로 전환한다.
현재 디렉토리 절대경로 출력 #pwd
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. #ls [option] [directory]
Option
-a :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(숨김파일포함)
-c : 최근 변경시간에 따라 정렬
-f : 경로와 내용을 디스크에 저장된 순서대로 보여준다
--full-time : 전체시간을 보여준다
-i : 파일 왼쪽에 inode를 보여준다.
-k : 파일 크기를 kb단위로 보여준다
-l : 파일 목록을 자세하게 나열한다.
-m : 목록을 가로로 나열한다
-n : -l 옵션과 비슷
-p : 파일 형태를 지시하는 문자를 각 파일에 추가한다
-r : 정렬 순서를 내림차순으로
-s : 파일 크기를 1kb단위로
-t : 파일ㅇ르 시간순으로 정렬
-x : 정렬 방식을 가로로 한다
-A : 리스트 목록에서 . 과 .. 을 제외한다
-B : 파일 끝이 ~인 파일은 제외한다
-C : 정열 방식을 세로로 한다
-F : 파일 형식을 알리는 문자를 각 파일 뒤에 추가한다
-G : 자세한 목록 나열에서 그룹 정보를 제외한다
-L : 심볼릭 링크 파일들을 그냥 파일로 보여준다
-R : 하위 경로와 그 안에 있는 모든 파일들도 나열한다
-S : 파일 크기가 가장 큰 것부터 정렬한다
-U : 정렬을 하지 않고, 디스크에 저장된 순서대로 보여준다
-X : 확장자 순으로 정렬한다
-1 : 한줄에 한 파일씩 나열한다
디렉토리 만들기
#mkdir [option] dirname
Option
-m permission : 디렉토리의 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. 기본값은 755
-p : 필요한 경우 상위 디렉토리까지 만든다. #mkdir ~a/b/c
디렉토리 삭제
#rmdir [option] dirname
-p : 상위 경로도 지운다. 모든 디렉토리가 비어있어야 한다.
파일시간정보 변경 #touch [option] filename
-a : 최근 파일 사용 시간만 변경한다.
-c : 파일이 이미 존재하지 않으면 파일 생성을 하지 않는다.
-d 시간 : 현재 시간 대신 지정한 시간을 사용한다.
-m : 최근 파일 변경 시간만 바꾼다
-r 파일 : 현재시간 대신 지정한 파일의 시간으로 변경한다.
-t MMDDhhmm[[CC]YY][.ss] : 현재 식나 대신 지정한 시간으로 변경한다.
파일복사 #cp [option] originalfilename copiedfilename
-a 원본 파일의 속성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며 복사
-b 복사 대상이 이미 있을 경우 파일 백업 후 복사
-d 복사할 원본이 심볼릭 링크이면 심볼릭파일 자체를 복사한다.
-f 복사 대상이 이미 있으면 강제로 지우고 복사
-I 복사 대상이 있으면 사용자에게 물어봄
-l 하드링크 형식으로 복사한다
-P 파일 지정시 원본경로를 모두 입력하였을 경우 그 경로 그대로 복사된다
-p 파일의 속성정보들이 그대로 보존되어 복사된다
-r 우너본이 파일이면 그냥 복사, 디렉토리라면 디렉토리 전체가 복사된다
-s 파일을 심볼릭 링크 형식으로 복사 원본파일이름을 절대경로로 지정해야 함
-u 복사 대상이 있을경우 파일의 변경날짜가 같거나 더 최근의 것이면 복사하지 않는다
-v 복사 상태를 보여준다
-x 원본과 대상의 파일시스템이 다를 경우에는 복사하지 않는다.
-R 디렉토리를 복사할 경우 그 안에 포함된 모든 하위경로와 파일들을 모두 복사한다.
자주사용되는 명령 #cp –a 원본 사본
파일이동 및 이름변경 #mv [option] src dest
-b 목적지에 같은 파일이 존재하면 기존 파일 백업 후 복사
-f 덮어쓸 떄 물어보지 않고 바로 실행
-i 덮어쓸 떄 물어본다
-v 무엇을 했는지 표시한다
파일 삭제 #rm [option] filename
-f 아무런 메시지 없이 삭제
-I 파일 삭제시 사용자에게 물어본다
-r, -R 파일 및 디렉토리 모두 삭제
-v 삭제되는 파일의 정보를 보여준다
파일의 내용 출력 #cat [option] filename
-b 줄번호를 화면 왼쪽에 나타낸다 공백은 제외
-e 제어문자를 ^형태로 출력 각 행의 끝에 $를 추가
-n 줄번호를 화면 왼쪽에 나타낸다. 공백 포함
-s 중복되고 겹치는 빈 행은 하나의 빈 행으로 처리한다
-v tab과 행바꿈 문자를 제외한 제어문자를 ^형태로 출력한다
-E 각 행마다 끝에 $문자를 출력한다
-T tab문자를 출력한다
-A : –vET 옵션을 사용한 것과 같다
화면단위로 분할 출력 #more [option] filename
-n 지정한 숫자만큼 라인출력
-c 위에서부터 한행씩 지운 후 항 행씩 출력. 특정 터미널을 위해 사용
-d 스페이스나 q키를 누르라는 프롬프트를 출력한다.
-f 화면의 행이 아닌 논리적인 행 수를 계산한다.
-s 여러 개의 빈 공백행은 하나로 취급한다
-p 스크롤하지 않는다. 대신 화면을 지우고 출력한다
-u 밑줄 치기를 금지한다
More를 좀 더 보완한 명령 #less [option] filename
-? 도움말
-a 마지막 라인이 화면에 출력되고 나서 탐색을 시작
-c 필요할 떄 전체 화면을 다시 갱신
-C –c 옵션과 같지만 갱신할 떄 화면 전체를 지우고 시작한다
-e 두 번째로 파일의 끝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종료
-E 파일의 끝에 도달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종료
-i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탐색한다
-n 행번호를 추가한다
-q 특정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아무 소리도 내지 않고 조용히 동작한다
-Q 결코 아무 소리도 내지 않는다
-s 연속되는 공백 라인은 하나의 행으로 처리한다
-x 숫자 : 수치를 지정해서 탭 간격을 조정한다. 기본값은 8이다.
-